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RFID의 이해

제약분야 RFID최신동향

제약 일련번호 법안 개요

Attaching Reporting
Assigning randomized unique (serial) number based on GS1 international
Standard by using barcode or RFID technology (2015.1.1~)
Setting up the track and trace system through the central DB in real time
(Manufacturer: 2016.7.1~, Distributor: 2019.1.1~)

의약품 이력추적 시스템

Barcide as a Capturing Tech

RFID as a Capturing Tech

RFID vs Barcode

※ Assume

  • - Daily Delivery : 960 Boxes, Products per each Box : 100 EA
  • - 22 working days/month, 8hr/day
Category Argentina (Barcode) Turkey (Barcode) H제약사 (Korea)
Picture
Working Time / 1Box 6min.
4min.
5min. 30sec.
3min. 45sec.
9sec.
Working Time / Day 75.8 hr.
64 hr.
70.1 hr.
60 hr.
1.9 hr.
2.4 hr.
Working Space needed One Person : 1m(L) X 1m(W) 1.85m(L) X 0.85m(W)
Labors and Lines 8.5 persons
(8.5 Barcode Lines)
7.8 persons
(7.8 Barcode Lines)
1 person
(One RFID Line)

Cost Estimation of A Pharma in implementing Serialization

Category Argentina (Barcode) Turkey (Barcode) H사 (RFID)
Picture 22.79% 24.06% (1.27%↑)
Labor : Material = 95 : 5
23.41% (0.62%↑)
Labor : Material = 20 : 80

RFID Data 활용사례

활용사례 1

어플리케이션 내용 화면
제품 유통 이력 추적
  • - RFID 정보로 제품 생산, 출고, 반품 등의 유통이력 조회
  • - 비정상 유통, 위변조 추적 가능
생산 포장 실적 조회
  • - 포장 작업 지시에 따른 생산량 및 생산이력 실시간 조회
  • - Aggregation 정보 통한 제품 개별 위치 조회
실시간 생산 현황 통계 조회
  • - 월별, 일별, 요일별, 시간대별, 제품별 생산량 실시간 조회
  • - 작업효율, 지연요인 등 파악
출하 정보 조회
  • - 거래처별, 제품별 출하정보 조회
  • - 배송 지연 및 오배송 발생시 출하 이력 조회로 원인 파악
거래처(약국) 재고 관리
  • - 거래처 리딩 정보로 제품별 유효기간 만료, 3,6,9,12 개월 구분 및 재고 관리
반품 현황 관리
  • - 반품 입고 검수, 반품 금액 확인
  • - 출고와 반품 거래처 유통 경로 확인
  • - 유효기간 확인에 따른 재입고 혹은 폐기

활용사례 2

어플리케이션 내용 화면
도매 출하 정보 제공
  • - 도매 출하 전자 거래 명세서 자동 전송 (제조번호, 유효기간, 수량, 금액 등)
  • - 도매 거래처의 제품 유통정보 조회
영업사원 근태관리
  • - 온팜 영업 MR 리딩콜 근태관리
  • - 본사 본부장, 지역장 근태 모니터링
  • - 리딩콜 기준 유류비 산정
심평원 보고
  • - 심평원 일련번호 보고를 위한 발송 검수 자동화
  • - 발송 검수 후 심평원 보고 데이터 자동 생성
도입 상품 재고 정보 제공
  • - 협력처 제품별 매입, 매출, 재고, 반품 현황 정보 제공
약국별 제품 보유 현황
  • - H사 홈페이지를 통해 제품 보유 약국 정보 서비스
  • - 약학정보원과 협력, 네이버/다음/네이트온 통한 대국민 서비스
약사 재고 내역 서비스
  • - 약사 HMP 회원에게 약국 재고 정보 제공
  • - 제품별 판매 실적 및 유효기간 내역 제공
식약처 ‘마약류 관리에 관한
법률 시행 규칙’ 일부 개정안
  • RFID/바코드 등 기술을 한정하지 않음
  • 수출입업체, 제조업체, 원료사용 업체, 도매업체, 병의원, 약국 등 전체 취급 당사장의 전체 업무에 해당
  • 마약, 향정 의약품, 동물 마약류 모두 2018.5 에 일괄 시행
  • 중점 관리 품목과 일반 관리 품목을 이원화하여 관리
    • - 중점 관리 품목: 마약류 및 프로포폴 등 중점 관리 대상 품목
    • - 중점 관리 품목은 상황에 따라 추가 가능
    • - 중점 관리 품목은 일련번호를 취급 7일 이내 보고
    • - 일반 관리 품목은 수량 정보를 취급 익월 10일 이내 보고
관리 법률에 따른 RFID 관련
제약산업의 이슈
  •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간의 합의안 도출 어려움
  • RFID와 바코드 시스템 이중화에 따른 유통 업체들의 반발
  • IoT 개념 RFID 특징에 대한 이해 부족
  • 유통 중 발생되는 RFID chip 손상에 대한 대비책 없음
    • - 가독성 문자 및 RFID 정보의 바코드 표기법 표준안
    • - 가독성 문자를 통한 RFID 정보 대체안 인정
  • 새로운 프로세스와 기술에 대한 학습 및 개선 의지 부재
  • 현재는 데이터 정확도 및 정합성에 대한 관리 부재
  • RFID는 여전히 “Emerging Technology”
제약 업계 RFID 도입의 걸림돌
  • 외 제약사들의 도입 미비
    • - 해외 제약사들은 소품종 대량 생산 후 일괄 도매업체 납품
    • - 국내 제약사들은 다품종 소량 생산 후 도매, 약국 직접 납품
  • 정부의 일관성 없는 지원 태도
  • 제약사 고위급 임원들의 IT 기술에 대한 무지와 학습 노력 부족
    • - 환경 변화에 대한 적극적 자세 부족
    • - 디지털과 데이터 중심의 4차 산업혁명 이해 부족
  • 각 부서간의 이기주의
    • - RFID 도입 검토는 원가 압박을 가진 생산 부서 소관
    • - RFID 효과는 물류 팀에서 얻으나 의사결정 영향력 부족
  • 기술 업체 영세성 및 기술 부족
  • 콘트롤 타워인 정부에 국제 표준, 업무 환경, 기술 및 시스템 아키텍트 능력 가진 정책 입안 전문가 부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