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dex | RFID | Barcodae |
---|---|---|
인식거리/방식 | 인식거리가 길고 비접촉식 (<500cm) | 인식 거리가 짧고 준접촉식 (<20cm) |
재고파악 | 동시 300~500(ea) Reading | 순차적으로 1:1 리딩 |
장애물 제약 | 금속을 제외한 다른 장애물은 관통 | 모든 장애물에 제약 |
정보 쓰기 | 순차적으로 분당 150(ea) Writing | 순차적으로 분당 60개 이하 : 300mm/sec (초당 1개 인쇄) |
보안 | 가능 (Access Password / Read Protect) | 불가 |
복제(위조) | 불가능 (TID, Kill Password) | 가능 |
RFID 도입 효과 : 일련번호 제도 시행에 따라 최소 유통단위에 일련번호 부여 및 개별 인식으로 인건비소요, 처리속도 저하 등 RFID도입으로 막대한 비용상승 해소
* 동시 인식 초당 1~2개, 다량 개별 리딩 시 많은 시간 소요 → 묶음 필요
* 동시 인식 초당 100개, 다량 일괄 리딩 → 묶음 불필요
의약품 입출고 시 RFID는 Box Level로 일괄 인식하여 작업속도가 빠른 반면에 Barcode의 경우, Box 해체 후 각 의약품을 개별 인식해야 하므로 업무 효율성이 떨어짐
약 3초 | 발송속도 (50EA 1Box) |
약 100초 |
---|---|---|
3시간 20분 소요 (Box 일곽인식) |
발송속도 (4,000 Box) |
28시간 소요 (1:1스캔 - 4개 라인 4인) |
현장에 배포된 의약품 재고는 RFID로 관리 시, 해당 반경 내 의약품 정보, 수량, 유효기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나 Barcode의 경우 육안파악이므로 업무 효율성 및 정확도가 떨어짐
Item 일련번호를 활용하여 추적가능 | 불법유통 | 약 100초 |
---|---|---|
Item 일련번호 추적 어려움 (1:1 바코드 스캔으로 확인 → 현실적으로 불가능) |
재고관리 (200EA) |
약 2시간 소요 (육안으로 확인해가며 각 의약품 스캔) |
2015년 이후부터는 바코드도 일련번호를 포함한 공급내역을 보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
의약품 관리 기술은 “선택 이 후”의 현업관점에서 매우 중요함(생산•발송•재고 관리 시 리딩 or 스캔 필요) 현장에서 심평원 실적보고를 위해 데이터에 대한 관리/공유/활용 시,
업무 효율화 측면에서 RFID가 유리